[뉴스특보] 5·18 40주년…"세월은 흘러가도 산천은 안다"<br /><br /><br />지금도 아픔이 가시지 않은 5·18 민주화 운동.<br /><br />어느덧 40년이 흘렀지만 아픈 상처를 보듬고, 역사 왜곡 바로잡기 등 남은 과제가 많습니다.<br /><br />5·18 진상규명조사위원회가 본격적인 진상조사에 들어간 가운데 40년 전 그날의 진실을 밝히기 위한 노력은 계속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이 시간, 조진태 5·18기념재단 상임이사 모시고 5·18 40주년의 의미와 남은 과제들에 대해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<br /><br /> 오늘로 5·18 민주화운동 40주년을 맞았습니다. 많은 감정이 교차하실 거 같은데, 먼저 5·18 기념재단 상임이사로서 소회부터 여쭤보겠습니다.<br /><br /> 지난 11일 진상규명조사위원회가 발족했는데, 1988년 광주 청문회와 1995년 검찰 수사를 비롯해 9차례에 걸친 진상규명 노력에도 그동안 또렷한 진실이 밝혀지지 않은 배경은 어디에 있다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5·18 진상조사위가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한 가운데, 위원회 활동에 한계가 있어 법률 개정이 필수적이란 주장이 제기됐는데,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입니까?<br /><br /> 그동안 진실이 제대로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에 40주년을 맞는 5·18이지만 역사를 왜곡하고, 가짜 뉴스를 퍼뜨리는 세력 여전히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? 5·18이 북한군 소행이라는 등 역사를 왜곡하는 이유는 어디에 있다고 보세요?<br /><br /> 이유가 유명세든, 돈이든, 악의적인 왜곡은 이제 뿌리 뽑을 때가 된 것 같은데, 5·18민주화운동을 왜곡·폄훼하는 세력을 단죄하는 특별법이 새 국회에 다시 올라가게 된다고요?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입니까?<br /><br /> 5·18 진상규명조사위원회, 국가가 나서서 체계적으로 오직 5·18만 조사한다는 것 자체로 커다란 의의가 있어 보이는데, 앞으로 얼마의 기간동안, 어떤 방식으로 조사가 이루어지게 되는 건가요?<br /><br /> 그동안 가려졌던 5·18의 진실이 이번에는 과연 밝혀질지 주목되는 가운데, 무고한 시민을 향한 집단 발포를 누가 명령했는지, 암매장, 헬기 사격, 이를 숨기기 위한 공작의 실상 등 앞으로 풀어야 할 숙제가 산적해 있지 않습니까? 우선적 과제를 짚어주시죠.<br /><br /> 그렇다면 5·18 당시 진압 작전의 최종 책임자로 지목된 전두환 전 대통령에 대한 조사 가능성도 열려 있다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조사위는 이번 조사의 목적이 처벌보다 진실과 화해라면서 이를 위해 가해자가 진상규명에 적극 협조할 경우 처벌하지 않거나 감형해 줄 것을 관련 기관에 건의할 계획이라고 하던데, '가해자의 양심 고백'을 이끌어 내는 데 어떤 영향을 미칠 거라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5·18 민주화운동이 화해, 통합의 계기로 거듭나기 위해서 헌법 전문에 5·18 정신을 담아야 한다. 이런 주장도 나오던데요. 이사님께서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?<br /><br /> 5·18 진실을 최장 3년 동안 활동할 조사위가 찾아낼지 기대가 모아지는데, 조사 결과가 국가보고서로 채택된다고 하더라고요? 이는 어떤 의미가 있는 건지 설명 부탁드립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조진태 5·18기념재단 상임이사와 함께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